연구배경과 필요성
우리 사회는 저출생·고령화 이외에도 외국인 노동자의 지속적 유입 및 국제결혼 증가, 국제이주의 활성화로 인구구성에 커다란 변화가 생기고, 다양성이 증대되었다.
다양성의 증대는 한 사회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단위의 이야기에 머물지 않고 개인과 공동체의 일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우리 연구소는 이른바‘이주사회’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들을 포착 혹은 규정하고 이주 법제 연구라는 틀을 통해 현상에 접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실용적이며 통합적인 대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변화하는 우리 사회에 적합한 정책 및 법제를 한발 앞서 연구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는 작업은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
- 01
- 이주사회에 대한 관심의 증가 - 이주법제에 대한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
-
- 02
- 이주법제에 대한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 - 인문학과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의 효율적 결함
-
- 03
- 이주사회 담론의 실천적 수용 - 입법정책적 관점에서의 이주법제 통일의 필요성
-
- 04
- 이주법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과 발간 - 이주법제 기초연구의 필요성
연구목표 및 계획
목표
우리 연구소는 시대적 요구에 따른 새로운 이주 법제 마련의 기초가 되어줄 이론적, 실증적 연구결과를 제공하는 데 목표를 둔다. 또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이며 종합적인 이주 법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학제 간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현실영역에 유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를 추구하며, 외국의 이주 법제 및 정책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우리 사회 내 다양성을 품는 데 있어서 시행착오를 줄이고 효과적인 대안들을 제시한다.
연구계획
이주법제 체계연구: 사회통합 | |||
---|---|---|---|
1년차 | 과제목표 | 이주자와 원주자의 통합: 이주, 이주사회, 사회통합 | |
연구활동 |
|
||
연구내용 | 연구단위 1 |
|
|
연구단위 2 |
|
||
연구단위 3 |
|
2년차 | 과제목표 | 사회통합과 법제의 비교: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이주법제 | |
---|---|---|---|
연구활동 |
|
||
연구내용 | 연구단위 1 |
|
|
연구단위 2 |
|
||
연구단위 3 |
|
3년차 | 과제목표 | 사회통합과 이주법제의 문법: 새로운 개인과 공동체의 형성 | |
---|---|---|---|
연구활동 |
|
||
연구내용 | 연구단위 1 |
|
|
연구단위 2 |
|
||
연구단위 3 |
|